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62

현재 열려있는 포트 확인 하고 닫기(mac m1, m2, m3....etc) 개발을 하다 보면 갑자기 내가 설정 해 놓은 포트로 서버가 실행이 되지 않을때가 있다. 그때 아래 와 같이 Listen 되는 포트를 확인 하고 해당 포트를 강제로 닫는 명령어를 사용함으로 이슈를 해결 할 수 있다. 별 내용이 없어서 바로 본론으로 들어가겠다. //일반 lsof -PiTCP -sTCP:LISTEN // 관리자 권한 sudo lsof -PiTCP -sTCP:LISTEN listen 되고 있는 포트들을 확인 할 수 있다. // 일반 lsof -i :3000 // 관리자 권한 sudo lsof -i :3000 그중에서 제거 하고 싶은 포트번호(3000)를 넣어서 프로세스의 PID를 확인 한다. // 일반 kill -9 PID // 관리자 권한 sudo kill -9 PID 위에서 찾은 PID로 .. 개발, 코딩해볼래?/IT, 그리고 잡학다식 2023. 11. 27.
asdf로 kubectl 멀티 버젼 사용하기 로컬 환경에서 서로 다른 버전의 kubectl을 사용하는 상황이 발생했다. kubectl의 최신 버전 지원하지 않고 있는 서비스를 이용 해야 해서 1.21~23 버전을 사용해야 하는 상황입니다. 반면, 로컬 테스트를 위해 Homebrew를 통해 설치하면 자동으로 kubectl 최신 버전(1.28)이 설치됩니다. 이러한 상황을 관리하기 위해 asdf라는 도구를 사용했습니다. asdf는 nvm이나 pyenv와 유사하게 다양한 버전의 소프트웨어를 설치하고 관리할 수 있게 해주는 명령줄 인터페이스(CLI) 툴입니다. asdf 설치 하기 # install asdf brew install asdf # add asdf echo -e "\n. $(brew --prefix asdf)/libexec/asdf.sh" >> .. 개발, 코딩해볼래?/IT, 그리고 잡학다식 2023. 11. 20.
스노우피크 카엔스토브 BS-010 사용 후기 자연 속에서 불을 바라보며 식사를 즐기는 행복한 시간 안정감 있는 삼발이로 냄비를 올려 쉽게 조리할 수 있습니다. 수납성이 뛰어나 휴대가 쉽습니다. 자연 속에서 모닥불로 요리하고, 그 불을 바라보며 식사할 수 있으면 그 시간이 보다 풍부해질 것이라는 발상에서 시작된 카엔스토 Koen. 아름다운 불꽃을 보여주는 구조, 기존 형태를 재구성해 불 조절과 소화가 쉽습니다. 또한 삼발이는 다양한 직경의 냄비에 대응하며 안정감이 있습니다. 집에서 간편하게 소고기를 혼자서 먹기 위해서 미니 화로대를 사고, 고체 연료고 대량으로 구매 했다... 사실 미니 화로는 이벤트로 무료로 받았고, 고체 연로만 비용을 들여서 구매를 하고 사용 했다. 다 괜찮았는데 단점이 하나 있었는데... 고체 연료 사용 시간이 생각 했던 것 보.. 이야기, 들어볼래?/일상, 그리고 취미 2023. 11. 16.
[Python] requirements.txt 패키지 관리 파이썬 프로젝트에서 필요한 패키지를 쉽게 다른 환경에 설치하려면 'requirements.txt' 파일을 사용합니다. 'pip freeze' 명령으로 생성된 이 파일은 프로젝트에 필요한 모든 패키지를 나열, 'pip install'로 간편하게 설치 가능하게 합니다. 들어가기 일반적으로, 파이썬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사용하는 여러 외부 라이브러리나 패키지들이 있습니다. 이러한 패키지들을 프로젝트와 함께 다른 컴퓨터나 환경에서도 동일하게 설치하고 싶을 때, 모든 패키지를 하나하나 손으로 타이핑하여 설치하는 것은 매우 번거로운 일입니다. 이 때 사용하는 것이 'requirements.txt'라는 파일입니다. 이 파일은 프로젝트에서 사용하는 패키지들의 목록을 담고 있는 텍스트 파일로, 이 파일에 나열된 패키지들을.. 개발, 코딩해볼래?/Python, 그리고 통계 2023. 11. 11.
임베딩 기술의 이해: 데이터를 언어로 말하게 하는 벡터의 마법(텍스트, 이미지) 임베딩이란? "임베딩"이란 콘텐츠를 고정된 크기의 부동 소수점 숫자 배열로 변환하는 과정입니다. 이 변환을 통해 콘텐츠의 길이와 상관없이 일정한 크기의 배열을 얻을 수 있으며, 배열의 구체적인 크기는 사용하는 임베딩 모델에 따라 달라집니다(예: 300, 1000, 1536 등). 이 숫자 배열을 가장 잘 이해하는 방법은 그것들을 다차원 공간의 좌표로 생각하는 것입니다. 콘텐츠를 다차원 공간에 배치하는 이유는 그 위치를 통해 콘텐츠에 대한 흥미로운 정보를 얻기 위해서입니다. 공간상의 위치는 콘텐츠의 의미론적 의미를 나타내며, 임베딩 모델은 이를 통해 콘텐츠의 색상, 모양, 개념 등 다양한 특성을 포착합니다. 개별 숫자의 정확한 의미를 완전히 이해하는 사람은 없지만, 이러한 위치가 콘텐츠에 관한 유용한 정보.. 개발, 코딩해볼래?/AI, 그리고 ChatGPT, LangChain 2023. 11. 10.
반응형